


조선시대 초기에 제작된 조선청자 전접시입니다.
구연부의 전(입술)끝을 바깥과 안쪽에서 눌러 편평하게 납작한 형태를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쉽게 주저앉아 형태가 흐트러지기 때문에 당대 일급 도공들만 제작할 수 있던 기형입니다.
그만큼 제작 자체가 드물어 현존품도 희소합니다.
조선청자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내저부는 평평하고 중앙 차고임 자리만 아주 얕게 오목하게 처리하여 잔을 올려놓으면 좋습니다
구연부는 안쪽에서 살짝 잡아당기듯 마무리되어, 옆에서 보면 가장자리가 살짝 벌어지거나 길게 뻗은 조형미가 나타납니다.
전체적으로 유약이 맑고 청자 특유의 빛을 띠며,
유약이 뭉치는 부위는 고려청자의 비색을 보여줍니다.
제원 : 구연부 지름 15.4cm, 높이 3cm
상태는 유약 튐이나 수리 없이 완전한 상태입니다